대화
융프라우에도 핀스터아르호른에도
아직 인간의 발자취가 없었다.
알프스 정상······ 온통 험한 봉우리들의 연속 ······ 산들의
최중심지.
산 위로 펼쳐진 연옥색의 말 없는 밝은 하늘. 매서운
강추위. 반짝이는 얼어붙은 눈. 그 눈을 뚫고 솟아난 얼음
덮이고 비바람을 견뎌 낸 준엄한 바윗덩어리.
지평선 양쪽에서 떠오른 두 바윗덩어리, 두 거인은
융프라우와 핀스터아르호른이다.
융프라우가 이웃에게 말한다.
"뭐 새로운 소식 없소? 당신이 더 잘 보이잖아. 거기
아래쪽은 어떻소?"
한순간 몇 천 년이 지나간다. 핀스터아르호른의 대답이
울려 퍼진다.
"꽉 들어찬 구름이 지구를 덮고 있다네 ······ 기다리게!"
한순간 다시 수천 년이 지나간다.
"자, 지금은 어떻소?" 융프라우가 묻는다.
"이제 보이는군. 저 아래쪽은 여전하네. 얼룩덜룩하고
작기만 하지. 물은 푸르고, 숲은 검고, 쌓아 올린
돌무더기들은 잿빛이네. 주변에는 여전히 딱정벌레들이
우글거리지. 알다시피, 아직도 당신이나 나를 한 번도
더럽힌 적 없는 저 두 발 달린 것들이라네."
"인간들?"
"그래, 인간들."
한순간 수천 년이 흐른다.
"자, 지금은 어떻소?" 융프라우가 묻는다.
"딱정벌레들이 약간 적어 보이네." 핀스터아르호른의
대답이 우렁차다.
"아래는 더 선명해졌어. 물도 줄고, 숲도 드물어졌다네."
한순간 다시 수천 년이 지난다.
"무엇이 보이오?" 융프라우가 묻는다.
"우리 주변이 아주 깨끗해진 것 같네." 핀스터아르호른이
대답한다.
"저 멀리 계곡 따라 여전히 얼룩이 있고, 뭔가가 살짝
움직인다네."
"그러면 지금은 어떻소?" 한순간 수천 년이 지나자,
융프라우가 묻는다.
"이제는 좋아." 핀스터아르호른이 대답한다.
"어디나 깨끗해졌고, 어딜 가나 완전히 하얗고 ······.
어디에나 모두 우리 눈이지. 눈과 얼음이 고르게 있다네. 다
얼어 버렸어. 이제는 됐어, 잠잠하다네."
"좋아요." 융프라우가 중얼거렸다. "노인장, 그건 그렇고
우리도 충분히 대화를 나누었지요, 잘 시간이오."
"잘 시간이네."
거대한 산들이 자고 있다. 맑고 푸른 하늘도 영원히
침묵하는 대지 위에서 자고 있다.
-1878년 2월
개
방에는 개와 나- 우리 둘 뿐이다.
마당에는 사나운 폭풍이 무섭게 울부짖는다.
개는 앞에 앉아 나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나도 개를 바라본다.
개가 무언가 말하고 싶어 하는 눈치다.
개는 벙어리라 말할 줄 모르고,
자기 자신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개의 마음을
안다.
지금 이 순간
개나 나나 같은 감정에 젖어 있음을
우리 둘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나는 알고 있다. 우리 둘은 똑같다.
저마다의 가슴속에 똑같이
떨리는 불꽃이 타오르며 빛난다.
죽음이 날아와 자신의 차가운 넓은 날개를
퍼덕거리면 ······
끝장이다!
우리네 가슴속마다 어떤 불길이 타는지 누가 알까?
아니야! 지금 시선을 주고받는 것은 동물도 인간도
아니야 ······
서로 바라보고 있는 것은 두 쌍의 동일한 눈이다.
동물과 인간도, 이 두 쌍의 눈에도 동일한 생명이 서로를
의지하며,
겁먹은 채 서로에게 다가가는 것이다.
-1878년 2월
벌레
창문을 열어 놓은 넓은 방에 우리들 스무 명 정도가 함께
앉아 있는 꿈을 꾸었다.
우리 중에는 여자들, 아이들, 노인들도 있었다 ······
우리는 모두 어떤 유명한 물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는데,
이야기는 시끄럽고 알아듣기 힘들었다.
갑자기 바스락거리며 거칠게 떠는소리가 나더니
큼지막한 벌레 한 마리가 방 안으로 날아 들어왔다 ······.
길이는 5센티미터쯤 되어 보이는 것이 날아 들어와 방 안을
빙빙 돌더니 벽에 탁 붙었다.
벌레는 파리나 땅벌을 닮았다. 몸통은 흑갈색이고
평평하고 딴딴한 날개도 같은 색이다. 양쪽으로 벌어진
털투성이 발에 모나고 큰 머리는 꼭 잠자리 같았다.
대가리도 발도 마치 피투성이가 된 것처럼 새빨갛다.
이 이상한 벌레는 끊임없이 머리를 위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돌려 대며 발을 움직였다 ······ 갑자기 벽에서
떨어져 바스락거리며 방 안을 날아 돌아다니다 다시 벽에
붙어 앉더니 이제 그 자리에서 기분 나쁘고 구역질 나게
살짝 꿈틀댔다.
그 벌레는 우리 모두에게 혐오감, 두려움, 심지어
공포심을 불러일으켰다 ······ 우리 중 누구도 이전에 그런
벌레를 본 사람이 없었다. 우리 모두 소리를 질렀다.
"이 괴물을 밖으로 쫓아 버려!"
그러나 멀리서 손수건만 내두를 뿐이었다 ······ 아무도
다가갈 용기가 없었다 ······ 벌레가 날아오르자 모두
본능적으로 물러섰다.
다만 우리 중 한 사람, 얼굴이 파리한 젊은이만 영문을
모르겠다는 표정으로 우리 모두를 둘러보았다. 그는 어깨를
으쓱이며 웃어 보였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기에 우리가 이렇게 야단법석을
떠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는 그 벌레를 보지 못했고, 그
벌레의 불길하게 바스락거리는 날개 소리도 듣지 못했다.
갑자기 벌레는 그에게 시선을 휙 돌리는 것 같더니 별안간
그에게로 날아가 눈두덩을 쏘았다······ 젊은이는 들릴 듯 말
듯한 신음을 뱉더니, 그 자리에 쓰러져 죽었다.
이내 무서운 파리가 날아갔다. 그제야 우리는 어떤
손님이 찾아왔었는지 알아차렸다.
-1878년 5월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 1818년 11월 9일 러시아 오룔에서 대지주인 어머니와 몰락 귀족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남.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와 함께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문학적 경력을 서정시로 시작하여 산문시로 마무리한 작가이다. 모스크바대학교 문학부를 거쳐 페테르부르크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대학교에서 유학하며 계몽과 교육, 문명의 가치를 중시하는 서구주의자가 되었다.
이념적 줄서기와 검열이 횡행하는 러시아의 창작 환경에 환멸을 느끼고, 1861년 파리로 떠난 후, 여생을 유럽에서 지내며 문예활동에 전념하였다. 1883년 프랑스 부지발에서 생을 마감했다.